이책은 크게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의료 환경의 변화에 대한 내용으로 WTO DDA의 변화와 내용, 경제자유구의 설치와 의료서비스시장에 대한 것을 소개하였다. 이내용은 앞으로 의료서비스시장이 개방되면서 주로 사용하게 될 용어와 개념들을 주로소개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2부는 왜 집단개원에 대한 생각을 갖게 되는지, 집단개원을 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개념과 아울러 실무 내용들을 담고 있다. 물론 이 책만으로 집단 개원의 모든 실무를 익힐 수 없겠지만 집단개원 컨설팅 업체들과 어떤 일들을 의논하고 구성원간의 계약은 어떻게 체결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3부는 집단개원 제도가 올바르게 정착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 개선과 법개정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부분은 개원의들에게 필요한 것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입법무나 행정부의 정책입안자들에게 필요한 내용이다. 집단개원이 의료서비스를 전달하는 구조 속에서 좋은 모형으로 자리 잡아 효율적인 의료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법과 제도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1부 의료 환경 변화와 생존
제1장 의료 환경 변화와 생존을 위한 대처
제2장 의료시장 개방 과정제3장 의료시장 개방전 시범사업:경제자유구
2부 생존전략으로서의 집단개원
제4장 집단개원이란 무엇인가
제5장 집단개원, 왜 관심이 많은가
제6장 집단개원은 어느 정도 하고 있나
제7장 집단개원의 유리한 점, 또 불리한 점은제8장 집단개원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한 7가지 조건
제9장 집단개원의 법적 의미
제10장 집단 개원에 필요한 실무 이해
3부 의료 환경 변화와 생존
제11장 집단개원의 조직발전을 위한 조건
제12장 집단개원의 과세제도는 합리적인가
제13장 맺음
참고문헌
이전도서 | 의료대화기법 교육 |
다음도서 | 테러시대의 생존전략 |